M1 맥에서 윈도우 11을 설치하는 방법 [100% 무료]
M1 맥에서 윈도우 11을 설치 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그것도 완전히 무료로 설치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M1 맥에는 부트캠프가 없으므로 M1 맥에서 윈도우 11을 설치하는 방법은 가상 머신을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M1, M1 Pro, M1 Max, M1 Ultra 등 모든 애플 실리콘 맥에서 윈도우 11 을 설치 할 수 있습니다.
설치되는 윈도우 버전은 윈도우 11 ARM 버전이며, 가상 머신은 UTM 앱 입니다.
UTM 앱의 정식 명칭은 ‘UTM Virtual Machines’ 입니다.
UTM 앱은 맥 앱스토어에서 12,000원에 판매되고 있으나 웹사이트에서는 완전히 무료로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개발자에 의하면 웹사이트의 UTM 버전은 맥 앱스토어 버전과 완전히 동일하며 무료 버전에서 빠진 기능은 없다고 합니다.
맥 앱스토어 버전의 유일한 장점은 자동 업데이트를 받을 수 있다는 점과 UTM 개발에 지원 할 수 있다는 점이라고 합니다.
M1 맥에서 윈도우 11을 설치하는 방법
1. UTM 웹사이트에서 UTM을 무료로 다운로드 합니다. UTM 앱은 가상 머신 에뮬레이터 앱으로 용량은 약 260MB 입니다.
2. 다운로드 한 UTM.dmg 파일을 클릭하여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s) 폴더로 드래그하면 맥에 설치됩니다.
3. 설치 중에 필요한 가상머신 드라이버 파일도 같이 미리 다운로드합니다.
SPICE Guest Tools and QEMU Drivers (Windows) 아래에 있는 ‘Download’ 링크를 클릭하면 다운로드 됩니다.
4. 마이크로소프트 사이트에서 윈도우 11 ARM 버전을 다운로드 합니다. 윈도우 11 ARM 버전을 다운로드 하기 위해서는 윈도우 인사이더 프로그램에 무료로 가입하면 됩니다.
인사이더 프로그램에 가입이 되어 있지 않으면 처음 접속하여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면 Learn More 버튼을 클릭하여 인사이더 프로그램에 가입하면 됩니다.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으로 로그인되어 있으면 간단히 가입할 수 있으며 가입 후 나오는 추가 화면은 무시하고 다운로드 사이트로 다시 방문하면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5. UTM을 실행하여 새 가상머신 만들기를 클릭합니다.
6. 가상 머신 만들기 화면에서 Virtualize를 클릭합니다.
7. 운영체체 선택화면에서 Windows를 클릭합니다.
8. 선택 아이콘을 클릭하여 다운로드 받은 윈도우 11 ARM 파일을 선택합니다.
9. 윈도우11에서 사용할 RAM 및 CPU 코어를 선택하고, 다음을 클릭합니다. (램은 4GB에 CPU 코어는 기본 설정으로 설치)
10. 이제 화면 중앙에 실행 버튼을 클릭하여 윈도우 11 가상 머신 설치를 시작합니다.
11. 윈도우 11 설치 프로세스를 진행합니다. 기본 설정되어 있는 미국 지역과 영문 키보드로 설치합니다. 지역과 한글 키보드는 설치가 완료된 후에 설치해야 합니다.
12. 윈도우 11 설치 중에 인터넷 연결 화면에서 멈춥니다. 가상 머신 이기 때문에 가상 머신용 드라이버를 설치해야 설치가 진행됩니다.
13. UTM 화면 상단의 도구 모음의 디스크 아이콘을 클릭하여 CD/DVD Iso > 변경 버튼을 클릭하여 3번에서 다운로드한 파일 ‘spice-guest-tools-0.164.3.iso’를 가상 CD롬으로 마운트합니다.
14. Shift + F10으로 명령 프롬프트를 실행하여(맥에서 F10은 Fn + F10 이므로 Shift + Fn + F10) taskmgr을 입력한 후 엔터키를 누르면 작업관리자 화면이 뜹니다.
15. 작업관리자 화면에서 Windows Explorer를 선택하여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하여 ‘Open file location’을 선택하면 파일 선택 화면이 나옵니다.
16. 가상CD 롬에 마운트 한 D: 드라이버에서 ‘spice-guest-tools-0164’ 파일을 클릭하여 설치합니다.
17. 설치가 완료된 후 리부팅하여 다시 윈도우 11 설치 프로세스를 진행하면 11번 화면에서 멈췄던 화면에서 문제없이 설치가 진행됩니다. 이후는 기본 윈도우 11 설치 프로세스와 동일합니다.
18. 윈도우 11 설치 기본 설정으로 설치를 진행하면 최종 윈도우 11 설치가 완료됩니다.
19. 설치 완료 후에 제어판에서 한글 키보드와 한글 언어팩을 설치하면 한글 윈도우 11 버전을 사용 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UTM에서 설정된 윈도우 가상 머신 파일 용량은 약 14GB이며, 파일은 다음 위치에 있습니다.
~/Library/Containers/com.utmapp.UTM/Data/Documents/Windows.utm
마치며
윈도우11 설치를 진행한 맥은 M1 맥북프로 13인치 고급형 모델로 메모리 8MB, SSD 512GB 모델입니다.
큰 기대는 하지 않고 설치했는데 상당히 빠르고 안정적으로 설치되며 윈도우 11 역시 상당히 잘 돌아갑니다.
설치 과정과 윈도우 11에서 몇 개의 프로그램을 실행해도 맥북프로의 팬이 거의 돌지 않을 정도로 안정적으로 잘 돌아갑니다.
UTM과 Windows 11 ARM 덕분에 이제 M1 맥에서 윈도우를 사용 할 수 없다는 말은 더 이상 유효하지 않습니다.
설치 과정에 의문 사항이나 추가 문의 사항은 댓글로 남겨 주시면 답변 드리겠습니다.
추천글
• M1 Pro/M1 Max 맥북프로 14인치와 16인치를 새로 샀다면? 유용한 7가지 팁
• 애플 M1 맥에 아이폰 및 아이패드 앱을 설치하는 2가지 방법
• 모르면 후회하는 macOS 몬터레이 활용팁 23선
좋은 정보 너무 감사합니다.
설치를 해서 윈도우를 사용했었는데요.. 오늘 사용하려고 하니 오류가 생기면서 실행이 안되네요.
혹시 윈도우 설치 후에 설치파일이나 드라이브 파일을 삭제하면 이런 문제가 생기는 걸까요?
네 맞습니다. 파일을 삭제하면 실행이 안되고 오류가 생깁니다.
설치 시간이 짧은 것으로 보아 설치 파일이 실제 사용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수고스럽겠지만 다시 한번 파일을 다운로드 하여 같은 폴더에 유지하면 잘 실행됩니다.
파일을 지우고 테스트 한 결과 똑같은 오류가 생겼으며,
다시 다운로드 하여 같은 위치에 저장하니, 실행이 잘되었습니다.
개발자 노트를 살펴보니, 부트로더를 윈도우11 파일을 이용한다고 합니다.
혹시 지워도 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고 있으면 추가하도록 하겠습니다.